김태용 감독 감독 1969년 12월 9일생 / 데뷔 : 1999년 영화 '여고괴담2'
김태용 감독 작품 영화현황(감독,각본,필모그래피) / 24년 5월 13일 기준
영화명 | 제작연도 | 역할 | KOBIS매출액 | KOBIS 관객수 |
원더랜드 | 2024 | 감독,시나리오(각본) | ||
2월 수요단편극장- 김태용 감독 특별전 | 2018 | 감독 | 74,000 | 10 |
꼭두 이야기 | 2018 | 감독 | ||
[인디포럼2016] 신작15 지켜주지 못해 미안해 | 2016 | 감독 | 306,000 | 51 |
에코그라운드단편 | 2016 | 감독 | 2,010,000 | 201 |
제15회 미쟝센 단편영화제 김태용 단편 1 | 2016 | 감독 | 395,000 | 66 |
제15회 미쟝센 단편영화제 김태용 단편 2 | 2016 | 감독 | 593,000 | 99 |
판타지, 마술적 순간 | 2016 | 감독 | 95,000 | 17 |
한국 환경영화의 흐름 단편 | 2016 | 감독 | 70,000 | 14 |
마이 페어 웨딩 | 2015 | 단역-출연역 | 35,097,000 | 4,586 |
2015 GSFF 단편 초청 1 | 2015 | 감독 | 344,000 | 43 |
2015 GSFF 배우 특별전: 김수안 | 2015 | 감독 | 774,000 | 97 |
그녀의 연기+민우씨오는날 | 2015 | 감독 | 7,000 | 1 |
그녀의 전설 | 2015 | 감독 | ||
김태용 단편선 | 2015 | 감독 | 805,000 | 105 |
서울독립영화제 2015 특별단편 1 | 2015 | 감독 | 611,800 | 102 |
서울독립영화제2015 심야상영1 | 2015 | 감독 | 1,021,500 | 107 |
신촌좀비만화 | 2014 | 감독 | 51,786,700 | 5,225 |
바람이 우리를 데려다 주리라 | 2014 | 감독 | ||
인디포럼2014 필름1 | 2014 | 감독 | 744,000 | 124 |
정동진독립영화제 2013 섹션 1 | 2014 | 감독 | 19,000 | 4 |
피크닉 | 2014 | 감독,각색 | ||
한국 환경영화의 흐름 단편 3 | 2014 | 감독 | 5,000 | 1 |
그녀의 연기 | 2012 | 감독 | 8,935,775 | 2,086 |
주리 | 2012 | 조감독 | 5,810,300 | 1,357 |
만추 리마스터링 | 2010 | 감독,시나리오(각본) | 6,498,329,650 | 865,808 |
시선 1318 | 2008 | 감독 | 29,866,500 | 4,681 |
나의 사랑, 나의 영화 | 2008 | 감독 | ||
달리는 차은 | 2008 | 감독 | 411,500 | 80 |
가족의 탄생 | 2006 | 감독,시나리오(각본),작사/작곡/편곡-주제곡<오월의 아이> 작사 | 1,225,585,500 | 201,227 |
온 더 로드, 투 | 2005 | 감독 | 3,226,500 | 501 |
이공 | 2003 | 감독 | ||
이공을받아줘 | 2003 | 감독 | ||
여고괴담 두번째 이야기 | 1999 | 감독,시나리오(각본) | 2,043,000 | 264 |
창백한푸른점 | 1998 | 감독 | ||
열일곱 | 1997 | 감독 |
영화진흥위원회 등록된 정보로 실제 정보와 다를 수 있습니다.
김태용 감독 영화제수상내역
영화제 | 출품작 | 수상내역 |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12회(2011년) | 만추 리마스터링 | 최우수 작품상 |
부일영화상 20회(2011년) | 만추 리마스터링 | 최우수 감독상 |
프리부르 국제영화제 25회(2011년) | 만추 리마스터링 | E-changer Award |
만추 리마스터링 | Award of the FICC-Jury | |
대종상영화제 44회(2007년) | 가족의 탄생 | 최우수 작품상 |
가족의 탄생 | 각본상 | |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7회(2006년) | 가족의 탄생 | 감독상 |
가족의 탄생 | 최우수작품상 | |
청룡영화상 27회(2006년) | 가족의 탄생 | 감독상 |
테살로니키 국제영화제 47회(2006년) | 가족의 탄생 | 각본상 |
가족의 탄생 | 골든 알렉산더 | |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26회(2006년) | 가족의 탄생 | 최우수 작품상 |
김태용 감독 작품 대표영화 - '만추 리마스터링'
장편 | 예술영화 | 멜로/로맨스 | 113분 0초 | 15세이상관람가 | 한국, 미국, 홍콩
개봉일 2011-02-17
감독 김태용
[주연] 현빈(훈) | 탕웨이(애나)
[단역] 김서라(옥자)
시놉시스
수인번호 2537번 애나. 7년 째 수감 중, 어머니의 부고로 3일 간의 휴가가 허락된다. 장례식에 가기 위해 탄 시애틀 행 버스, 쫓기듯 차에 탄 훈이 차비를 빌린다. 사랑이 필요한 여자들에게 에스코트 서비스를 하는 그는, 누군가로부터 도망치는 중이다.
“나랑 만나서 즐겁지 않은 손님은 처음이니까, 할인해 줄게요. 오늘 하루.”
훈은 돈을 갚고 찾아가겠다며 억지로 시계를 채워주지만 애나는 무뚝뚝하게 돌아선다. 7년 만에 만난 가족도 시애틀의 거리도, 자기만 빼 놓고 모든 것이 변해 버린 것 같아 낯설기만 한 애나. 돌아가 버릴까? 발길을 돌린 터미널에서 훈을 다시 만난다. 그리고 장난처럼 시작된 둘의 하루. 시애틀을 잘 아는 척 안내하는 훈과 함께, 애나는 처음으로 편안함을 느낀다.
“2537번, 지금 돌아가는 길입니다…”
이름도 몰랐던 애나와 훈. 호기심이던 훈의 눈빛이 진지해지고 표정 없던 애나의 얼굴에 희미한 미소가 떠오를 때쯤, 누군가 훈을 찾아 오고 애나가 돌아가야 할 시간도 다가오는데...
김태용 감독 작품 대표영화 - '가족의 탄생'
장편 | 예술영화 | 드라마 | 113분 0초 | 15세관람가 | 한국
개봉일 2006-05-18
감독 김태용
[주연] 문소리(미라) | 엄태웅(형철) | 고두심 | 공효진(선경) | 김혜옥 | 봉태규 | 김꽃비(무신) | 주진모(경석)
[조연] 정유미(채현) | 이인철(동동구리무)
[특별출연] 김현아 | 우현(준호) | 박미현(미현) | 조희봉(플랫폼 - 찾는 남자 )
시놉시스
누가 보면 연인 사이라 오해할 만큼 다정한, 친구 같고 애인 같은 남매 미라(문소리)와 형철(엄태웅). 인생이 자유로운 형철은 5년 동안 소식 없다 불현듯 누나 미라를 찾아온다. 인생이 조금은 흐릿한 20살 연상녀인 무신(고두심)과 함께……똑 부러지는 인생을 꿈꾸던 미라는 사랑하는 동생 형철 그리고 동생이 사랑하는 여인 무신과의 아슬아슬, 어색한 동거를 시작하는데……
한편, 리얼리스트 선경(공효진)은 로맨티스트 엄마 매자(김혜옥)때문에 인생이 조용할 날이 없다. ‘사랑’이라면 만사 오케이인 엄마의 뒤치다꺼리하다 보니 이리저리 치인 기억에 ‘사랑’이 마냥 좋지만은 않은 선경. 남자친구 준호(류승범)와의 애정전선에 낀 먹구름도 맑게 개일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딸의 연애가 위태위태한데 매자는 왜 또 선경을 찾으시는지……
그리고 그 놈의 ‘사랑’ 때문에 인생이 편할 날 없는 경석(봉태규)과 채현(정유미)이 있다. 얼굴도 예쁘고 맘도 예쁜 채현이 넘치는 사랑을 주위 사람들에게 너무 나누어주다 보니 정작 남자친구는 애정결핍증에 걸리고 만 기구한 커플이다. 이건 아니다 싶은 경석. 참고 참다 둘 사이에 강수를 놓기로 하는데……과연 채현이 그 수에 걸려들까?
하루가 멀다 하고 웬~수처럼 으르렁대는 이들…… 사랑만으로도 복잡한데 이 7명은 여기저기서 또 엉뚱한 스캔들로 인생 들썩이기 일쑤다. 어쩌다 저렇게 엮이는지, 살짝 피곤해지려고 할 때. 꿈에도 생각지 못한 하나의 비밀이 이들에게 다가온다.
사랑에, 스캔들에, 바람 잘 날 없는 이들 과연 찬란한 행복이 탄생할 수 있을까?
김태용 감독 작품 대표영화 - '원더랜드'
장편 | 일반영화 | SF, 드라마 | 한국
개봉일 2024-06-05
감독 김태용
[주연] 탕웨이(바이리) | 배수지(구정인) | 박보검(박태주) | 정유미(서해리) | 최우식(김현수)
[조연] 탕준상(최진구) | 성병숙(송정란) | 최무성(이용식) | 이얼(해리 아빠) | 강애심(해리 엄마) | 김성령(길순) | 박희본(스텔라) | 아누팜 트리파티(하난) | 달시 파켓(대니) | 장윤정(용식 부인) | 송덕호(용식 아들) | 장성윤(용식 딸)
[특별출연] 공유(성준)
시놉시스
언제 어디서든 다시 만날 수 있습니다
죽은 사람을 인공지능으로 복원하는 ‘원더랜드’ 서비스가 일상이 된 세상,
어린 딸에게 자신의 죽음을 숨기기 위해 ‘원더랜드’ 서비스를 의뢰한 ‘바이리’와
사고로 누워있는 남자친구 ‘태주’를 ‘원더랜드’에서 우주인으로 복원해 행복한 일상을 나누는 ‘정인’.
사람들은 더 이상 그리워하거나 슬퍼하지 않는 삶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원더랜드’의 수석 플래너 ‘해리’와 신입 플래너 ‘현수’는
‘원더랜드’를 찾는 사람들이 소중한 기억을 이어갈 수 있도록 바쁜 하루하루를 보낸다.
어린 시절부터 인공지능 부모님과 교감해온 ‘해리’는 이용자들의 상황을 더욱 세심히 살피고,
‘현수’는 의뢰받은 서비스에서 뜻밖의 비밀을 발견하게 되어 마음이 쓰인다.
어느 날 의식불명 상태의 ‘태주’가 기적처럼 깨어나 ‘정인’ 곁으로 돌아오고
다시 마주하게 된 모든 것이 낯설고 혼란스러운 ‘태주’와
그런 그와 함께하는 현실에 ‘정인’의 마음에는 조금씩 균열이 찾아온다.
한편, ‘원더랜드’에서 발굴 현장을 누비는 고고학자로 복원된 ‘바이리’는
딸과의 영상통화를 통해 친구 같은 엄마가 되기 위해 노력하지만
갑작스럽게 서비스가 종료되면서 예상치 못한 오류가 발생하는데….
김태용 감독 작품 대표영화 - '여고괴담2'
장편 | 일반영화 | 공포(호러) | 97분 0초 | 12세관람가 | 한국
개봉일 1999-12-24
감독 김태용|민규동
[주연] 공효진(지원) | 이영진(시은) | 박예진(효신) | 김민선(민아) | 김규리(민아)
[단역] 오민애(양호 선생님)
시놉시스
제1장 죽음 한 아이가 죽는다. 지리하리 만큼 매일이 똑같았던 학교는 잠에서 깨어난듯 들떠 움직이기 시작한다. 술렁이는 여고. 죽음은 여고생들의 머리속을 헤집고 끔찍한 상상을 불러 일으킨다. 한 여름의 작열하는 태양빛은 여고에도 예외없이 찾아들고 쉬쉬하던 내부의 일그러진 모습들이 드러나면서 이상한 기운이 여고를 뒤덮는다. 제2장 유희 아직 학교를 떠나지 않은 영혼은 준비했던 놀이를 시작한다. 영혼이 던진 자주빛 일기장을 주은 아이에 의해 놀이는 수순을 밟아 진행되고 살아있는 아이들은 하나둘씩 영혼이 벌인 번잡한 축제에 동참하게 된다. 놀이의 방법은 하룻동안 죽음 이전의 영혼의 발자취를 밟는 것, 일기장에 적혀 있는 지시에 따라 한치의 오차도 없이 움직이는 것. 제3장 공포 죽음의 파장은 영혼의 난장인 듯 순식간에 아이들에게 전염된다. 아이들 내면에 숨어있던 무형의 두려움은 죽음의 환영을 곳곳에 출몰하게 하고 개개의 두려움이 모여 하나의 거대한 공포가 된다. 선생님들의 원인 모를 죽음의 원인을 찾아 헤매이고 아이들은 공포로부터 출구를 찾아 헤매이면서 학교전체가 움직인다. 방향을 잃은 학교.... 그 긴 하루의 끝은 어떤 모습일까?
영화감독 카테고리에 더 많은 영화감독정보와
영화배우 카테고리에는 영화배우 정보가 있습니다.
출처 : KOFIC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감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균동 감독 영화작품현황(감독,각본,매출,관객,수상,필모그래피) (35) | 2024.05.22 |
---|---|
이요섭 감독 작품 영화현황(감독,각본,매출,관객,수상,필모그래피) (36) | 2024.05.22 |
추창민 감독작품 영화현황(감독,각본,매출,관객,수상,필모그래피) (31) | 2024.05.14 |
김세휘 감독 작품영화현황(감독,스크립터, 매출,관객,필모그래피) (33) | 2024.05.10 |
김성수 감독 작품 영화현황(감독,각본,매출,관객,수상,필모그래피) (22) | 2024.05.08 |